728x90 임상11 카티라이프® 美FDA 임상2상, 보건 복지부 국책과제 선정 바이오솔루션 카티라이프® 美FDA 임상2상, 보건 복지부 국책과제 선정 - IRGO 클릭 한 번으로 관심기업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세요. 주주와 기업이 연결됩니다. m.irgo.co.kr 카티라이프® 美FDA 임상2상, 보건 복지부 국책과제 선정 “미국 임상 진행 등에 따른 회사의 비용 부담 경감 기대” 첨단 세포 응용 기술을 이용한 세포치료제 연구개발 전문기업 ‘주식회사 바이오솔루션(086820)’은 ‘카티라이프’의 미국 FDA 2상 임상시험 등이 보건복지부 국책과제로 선정되었다고 27일 공시하였다. 바이오솔루션의 자가 세포치료제 카티라이프®와 동종 세포치료제 카틸로이드TM는 보건복지부가 주관한 ‘2020년도 제1차 보건의료 RD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중 ‘줄기세포·재생의료 실용화 분야’에서 각각 ‘허가.. 2020. 4. 28. 퓨쳐켐, 프로스타뷰 적응증 확대 임상 1상 IND 승인 퓨쳐켐, 프로스타뷰 적응증 확대 임상 1상 IND 승인 ▶ 전립선암 확진군에서 위험군으로 적응증 확대 ▶ 기존 적응증 및 확대 적응증 모두 연내 임상 1상 완료 목표 퓨쳐켐이 전립선암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 프로스타뷰(FC303)의 적응증을 확대한다. 방사성의약품 신약개발 전문기업 퓨쳐켐(220100, 대표이사 지대윤)은 PSMA 전립선암 진단용 방사성의약품 프로스타뷰(FC303; [F-18]Florastamin)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전립선암 위험군 환자 대상의 임상 1상 IND(Investigational New Drug, 시험허가신청) 승인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퓨쳐켐은 지난 6월 프로스타뷰를 전립선암 확진 환자군 대상으로 IND 승인을 받아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었으.. 2019. 9. 26. 2019 상반기 크리스탈의 주요 이슈를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2019년 상반기 크리스탈의 주요 이슈를 돌아보고 주주의 궁금증을 풀어주는 시간! 바로 주담톡톡Q 코너!! IR담당자인 주담이 직접 알려주는 주담톡톡Q를 통해 크리스탈 정세빈 차장을 만나보세요! 0:54 - 아셀렉스 수출 계약 확대 1:38 - 우진비앤지와 MOU 체결 2:19 - 아셀렉스 복합제 2호 (임상 1상 승인) 2:58 - 아셀렉스 복합제 1호 & 아셀렉스 정제형 소식 3:45 - CG-806 미국 임상 진행 현황 5:19 - 밸뷰자산운용과 MOU 체결 6:52 - 아셀렉스 시판 허가 & 미국 임상 3상 추진 현황 9:47 - CG-750 진행 계획 11:08 - CG-549 진행 상황 13:03 - 2018년 확보한 1,300여억 원 활용 현황 14:24 - 크리스탈지노믹스 주주 여러분들께 .. 2019. 9. 10. [파멥신] 올린바시맥 임상 현황과 조달 자금 활용 계획 파멥신 항체신약 개발 전문 바이오기업의 유진산 대표이사의 인터뷰입니다 - 올린바시맵(타니비루맵)으로 WHO로부터 공식 명칭 수령 - 올린바시맵(타니비루맵) 임상 현황은? 파멥신 유진산 대표이사 인터뷰 00:20 항체치료제 개발 전문 바이오기업 - 파멥신 00:38 올린바시맵(타니비루맵) 임상 현황은? 02:43 조달자금 활용계획은? 05:41 올린바시맵과 키트루다 병용투여 임상 현황은? 07:18 키트루다와 병용투여 적응증을 확장할 ACC란 무엇인지? 10:14 2019 US BIO 성과는? 12:43 파멥신의 주주님들께 더 자세한 내용은 파멥신 IR 자료에서 확인하세요! IRGO(아이알고) - 주주와 기업이 소통하는 투자정보 서비스 클릭 한 번으로 관심기업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세요. 주주와 기업이 연결.. 2019. 7. 8. IR담당자 답하다! 퓨어스템 AD주 미국 임상에 대한 질문 (강스템바이오텍) IR담당자 답하다! 퓨어스템 AD주 미국 임상에 대한 질문 (강스템바이오텍) 안녕하세요.퓨어스템Ad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최대시장인 미국 fda 임상 진행을 안하는 이유가 있나요?그리고 미국 임상은 진행 계획에 있나요? 현재 미국 임상 계획은 없습니다. 그리고 미국임상보다 유럽 임상을 진행한 이유에 대해서도 말씀드리겠습니다. 저희가 유럽을 선택한 이유는 줄기세포 치료제에 대해 미국보다 유럽이 우호적이었기 때문입니다. 초기 해외 임상 방식을 두고 고민하던 시기의 상황을 보면, 미국은 줄기세포 치료제중 임상3상을 진행중이거나 종료한 임상건수가 185건이었으나, 품목허가가 나온 품목은 전무했던 상황입니다.그만큼 줄기세포 치료제에 대해 상당히 엄격한 시장이라고 판단했습.. 2019. 1. 11. 이전 1 2 다음 320x100